트렌드 리더123 오징어게임과 콘텐츠 혁명, 디지털 실크로드 전망은? 전 세계 ‘디지털 실크로드’의 개척자로 ‘K콘텐츠’가 부상했다. 한국 영화 ‘기생충’ㆍ‘미나리’에 이어 드라마 ‘오징어 게임’, 방탄소년단(BTS)의 음악과 세계 1∼2위를 다투는 네이버와 카카오 웹툰까지 K콘텐츠의 진화는 ‘메이드 인 코리아’의 새로운 지표를 만들고 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위기’를 ‘기회’로 전환시킨 한국 대중문화의 진화는 SNS와 OTT, 스마트폰을 뛰어넘어 ‘한국문화→독창성→장르적 미학→공감’이라는 선순환 생태계를 만들어가며 세계시장에서 소프트파워(정보과학ㆍ문화ㆍ예술 등이 행사하는 영향력) 강국으로 변모하고 있다. 코로나 위기가 열어준 K-콘텐츠 ‘디지털 실크로드’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이끌어낸 코로나19 팬데믹 위기는 K콘텐츠를 전 세계로 빠르게 .. 2022. 3. 14. 위기의 현대차 미국에서 최다 판매실적을 올린 이유는? 위기의 현대차 미국에서 최다 판매실적을 올린 이유는? '바퀴달린 냉장고'라는 악평까지 받았던 현대자동차그룹이 미국에서 큰일냈다. 현대차(제네시스 포함)와 기아는 차량용 반도체 대란으로 발생한 생산 차질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미국 시장에서 연간 역대 최다 판매 기록을 수립했다. 현대차그룹은 1986년 미국 진출 이후 35년만에 처음으로 연간 판매량에서 숙적인 일본 브랜드 혼다를 제쳤다. 미국 자동차 단체·매체들의 호평도 쏟아졌는데 GV80을 타고가던 타이거루즈가 전복사고를 당했지만 목숨을 구한 사실이 알려져 안전성이 입증됐기 때문이다. 현대차그룹, 지난해 美서 149만여대 판매 1/28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현대차(제네시스 포함)와 기아는 지난해 미국에서 148만9118대를 판매했다. 전년보다 판매대수가 2.. 2022. 1. 29. 국순당·지그재그가 MZ세대를 '팬'으로 만든 비결 국순당·지그재그가 MZ세대를 '팬'으로 만든 비결 “어떻게 고객을 우리 브랜드의 ‘팬’으로 만들까?” 브랜드의 ‘일방적인 소통’으로 끝나는 마케팅 캠페인이 많기 때문입니다. ‘ 요즘 ‘힙한’ 브랜드들은 어떻게 고객과 소통하고, 소속감과 애정을 느끼게 만들고 있을까요? MZ세대 고객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그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고 팬덤을 만든 사례도 있습니다. 국순당. 지그재그 브랜드 마케팅 사례를 살펴볼까요? 1. 국순당의 ‘파전우산’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2021년에는 수많은 브랜드에서 굿즈를 출시했어요. 오랜 굿즈의 강자 스타벅스는 물론이고, 던킨 도넛, 베스킨라빈스, 카페 노티드 등도 굿즈 계의 신흥 강자로 떠올랐죠. 치열한 경쟁 속에서 국순당도 막걸리 리뉴얼 이벤트로 '파전 우산' 굿즈를 내.. 2022. 1. 28. 테슬라는 흥하고 현대차는 망하는 이유? 현대자동차는 전기차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현대차는 반도체 공급난으로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런데 테슬라는 반도체 공급난 영향을 받지 않고 있다. 왜 그럴까? 테슬라는 테슬라에게 중요한 반도체를 구할 수 없을 때는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반도체를 확보한다. 그 반도체가 테슬라 필요에 맞게 작동하도록 반도체의 소프트웨어를 새롭게 작성한다. 현대차 같은 내연기관 대형 자동차 기업은 이런 일을 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이들 자동차 기업은 소프트웨어와 컴퓨팅 관련 업무를 외주화 했기 때문이다. 많은 경우 자동차 기업은 반도체를 수급하는 일을 직접 하지 않고 외부 벤더에 이 일을 위임했기에 위기가 발생할 경우 자동차 기업은 협상할 영향력이 없다. 자동차 산업의 가치사슬(value.. 2022. 1. 23.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