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리뷰206 미래의 불안감을 다루는 3가지 법칙 우리는 살면서 과거 일어났거나 현재에 일어나고 있는 일을 두려워하기보다는 미래에 일어날지도 모를 일을 상상하며 미리 두려워한다.거절 자체보다 거절 당할까봐 두려웠고~ 실패 자체보다 실패할까봐 두렵고~ 아픔 자체보다는 아플까봐 두려워한다. 실제로 일어나지도 않은 일, 어쩌면 절대 일어나지 않을 일을 미리 두려워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두려움들 때문에 한계 속에 갇혀 살아가게 된다. [목차] 미래에 대한 두려움 극복법 3가지사이토 히토리시는 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미래에서 오는 것은 반드시 해결할 수 있다. 자신이 해결할 수 없는 문제는 찾아오지 않는다. 이 문제를 한번 풀어 보라고 하늘이 문제를 내는 것이다. 하늘이 내는 문제는 전부 스스로 풀 수 있다. 그런 마음가짐으로 있으면 미래를 두려워.. 2021. 1. 31. 이타주의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아무리 가난한 사람도 나눌 수 있는 7가지 이타주의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헬퍼스 하이 (Helper's High)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마라토너들이 경험한다는 희열감인 러너스 하이(Runner's High)는 들어봤어도 헬퍼스 하이 (Helper's High)는 처음 들어보는 독자들이 많을 것이다. 스탠퍼드 대학에서는 이타주의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남을 돕는 봉사를 하고 난 후에는 거의 모든 경우에 심리적인 만족감 즉 하이 상태가 며칠 동안 또는 몇 주 동안 지속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실제 의학적으로도 실험 참가자들이 자원봉사를 한 후에는 혈압과 콜레스테롤 수치가 현저히 떨어지고, 기쁨을 관장하는 엔도르핀 호르몬이 정상치의 3배 이상 분비되어 가슴에서 따뜻한 열기와 힘이 솟아나는 .. 2021. 1. 27. 당신이 모르면 손해보는 스토리텔링 원칙 인생을 살면서 알아두면 좋은 스토리텔링 원칙! 원인 분석력을 키워서 일어나는 일들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라. 원인 분석력은 내게 닥친 문제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면서도 그 문제를 제대로 해결할 수 있도록 원인을 정확히 진단해 내는 능력을 말한다. 부정적인 사건을 지나치게 비관적으로 받아들이다가 늘 스스로 좌절하고 마는 사람이나, 반대로 지나치게 낙천적으로만 바라보다가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모두 원인 분석력이 부족한 것이다. 원인 분석력은 자신에게 닥친 사건에 대해 긍정적이면서도 객관적이고 정확한 스토리텔링을 할 수 있는 능력이다. 자기 조절 능력과 감정 통제력은 주로 감정의 문제며, 뇌의 변연계와 관련된다. 원인 분석력은 주로 이성의 문제며, 대뇌피질 특히 전두엽과 관련이 깊다 분노나 좌절 등의 .. 2021. 1. 16. 리더의 분노는 퇴사율을 높인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 업체가 500여개 기업의 퇴사율 현황을 조사했다. 그 결과, 해당 기업들의 최근 1년간 평균 퇴사율은 18%였다. 이 중 입사 1년 차 이하가 48.6%로 가장 높았고, 2년 차 이하(21.7%), 3년 차 이하(14.6%)가 그 뒤를 따랐다. 리더들의 흔한 불만인, “가르쳐서 어느 정도 일 좀 한다 싶으면 회사를 관둬버린다”라는 말처럼 전체 직원 중 신입 평사원의 퇴사율이 제일 높았다. 하지만 퇴사자들도 이직, 업무 불만, 연봉 불만 등 퇴사이유 외에도 리더와의 갈등 때문에 퇴사를 결심했다는 응답도 14.6%에 달했다. 생존 가능성을 높이고 전략적으로 일을 수행하기 위해 조직 구성원에게 빠르고 민첩한 업무 처리 능력을 요구하게 되었다. 의사결정과 선택에 따른 책임은 물론이고.. 2021. 1. 11. 이전 1 ···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