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렌드 리더

넷플릭스 오징어게임에 가려진 국내 OTT가 준비한 기대작은?

by 산골 피디 2021. 11. 1.

국내 OTT가 준비한 오리지널은?


넷플릭스가 '오징어'로 글로벌 홈런을 날린 가운데, 국내 OTT들의 시름이 깊어갑니다.
11월엔 디즈니플러스도 입성하니 OTT전쟁터가 더 부담스러워집니다.
현재 국내 OTT들도 오리지널 콘텐츠 투자를 공격적으로 진행중인데요.

'오징어게임'에 가려 잘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어떤 기대작이 있는지, 그 성과는 어떨지에 대해 한번 살펴볼까요?


눈에 확 들어오는 작품이 있으신가요?
OTT 플랫폼별로 힘주고 있는 대표적 작품들을 한번 짚어볼까요?


언프레임드
공개 : 2021년 12월 예정
주연 : 정해인, 이동휘 등
연출 : 이제훈, 손석구, 박정민, 최희서

  • 4명의 배우들이 직접 연출하며 감독으로 나선다. 4편의 단편영화를 엮은 옴니버스 영화로 부산국제영화제 초고속매진을 기록한 기대작. 출연진도 유명배우들로 가득해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괴이
개봉 : 2022년 상반기 예정
출연 : 구교환, 신현빈 , 김지영

  • 세상에 나오지 말았어야 할 '그것'의 저주에 현혹된 사람과 전대미문 괴이한 사건을 쫓는 고고학자의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 'D.P'로 인기얻은 구교환이 주연.
  • ‘부산행’의 연상호 감독이 극본을 집필하여 큰 기대를 모으는 작품.




욘더
개봉 : 2022년 상반기
출연 : 신하균, 한지민
연출 : 이준익감독(자산어보, 동주, 왕의남자)의 첫 OTT작품.

  • 죽은 아내로부터 메시지를 받은 남자가 그녀를 만날 수 있는 미지의 공간 '욘더'에 초대받으며 벌어지는 이야기
  • 과학기술 진보가 만든 세계인 ‘욘더’를 마주한 인간군상을 통해 삶과 죽음, 영원한 행복은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을 던진다.

 

 

 

 


이렇게 된 이상 청와대로 간다(정치 시트콤)
공개 : 2021년 11월
출연 : 김성령, 백현진, 배해선

  •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으로 임명된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출신 셀럽이 남편인 정치평론가의 납치 사건을 맞닥뜨리며 동분서주하는 정치 풍자 시트콤
  • 국내에서 잘 보이지 않았던 시트콤의 부활, 시트콤과 거리가 멀어보이는 주연들을 통해 신선함이 기대되는 작품.



 

 

 

트레이서
공개 : 2021년 12월 예정
출연 : 임시완, 손현주, 박용우, 고아성

  • 타고난 깡과 거칠 것 없는 '돌아이' 기질을 소유한 주인공이 대한민국에서 가장 보수적인 국세청을 무대로 복수를 펼치는 이야기를 담은 작품.
  • 뛰어난 연기력의 주연들로 이루어진 화려한 액션작품



 

 

크라임 퍼즐
공개 : 2021년 10월 29일
출연 : 윤계상, 고아성

  • 살인을 자백한 천재 범죄 심리학자, 흩어진 퍼즐 조각들을 모아 거대한 실체에 다가가는 진실 추격 스릴러
  • 웹툰 '크라임 퍼즐'을 원작으로 하는 드라마로 검증된 스토리와 배우로 믿고 기대할 만한 스릴러 작품

 

 

 


어떠신가요? 얼마전 넷플릭스의 올해 공개예정작들을 소개한 적 있는데요. 표를 통해 한번 비교해 볼까요?


4개 플랫폼의 오리지널 콘텐츠 투자와 넷플릭스를 비교해 볼 때, 글로벌 플랫폼의 투자 규모가 확연히 더 커보이는 듯 합니다. 여기서 그 차이를 야기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는 뭘까요? 글로벌 플랫폼의 자본력? 그렇죠. 돈이 가장 큰 변수이긴 합니다.

하지만 돈의 차이로만 얘기하고 그치면 곤란해 보입니다. 결국은 그 돈을 쏟아붓게 만든 시장의 차이가 더 중요하고, 거기서 대응책을 찾아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지금껏 국내 콘텐츠가 글로벌 시장을 염두하고 기획, 제작되는 경우는 드물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OTT 전쟁 글로벌/로컬 시장의 경계를 허물고 있다보니, 전체적으로 판이 바뀌고 있고 새로운 질서를 구축해가고 있는 상황이 됐습니다. 글로벌 시장을 뚫기 위한 다각도의 노력이 막연한 미래가 아닌 현실의 과제로 다가와 있다고 생각합니다.

때마침 글로벌 히트작으로 대두된 '오징어게임'이 그런 과제가 충분히 해결가능하다는 자신감도 불어넣어주고 있습니다. 사실 이미 그 이전에 '옥자'와 '킹덤', '승리호', 그리고 '복면가왕'(MBC)과 '굿닥터'(KBS) 등의 사례도 있었습니다.

문제는 유통플랫폼 이슈라고 봅니다.
아이돌산업의 성장에 유튜브라는 글로벌 파이프라인이 큰 도움이 됐듯 K-Content의 성장에 있어 1차적으로 넷플릭스(앞으로 디즈니플러스도 가세?)가 중요한 연결고리가 될 것 같습니다.

여기서 플랫폼에 종속된 하청기지로 전락할지 함께 시너지를 내는 파트너로서 제대로 입지를 구축해낼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
현실적으로 가능성과 우려가 공존하는 상황 같습니다.

특히 위와 같은 콘텐츠 제작 계획을 비교하다보면 왠지 국내 OTT의 콘텐츠 제작은 해당 OTT의 오롯한 오리지널로서 단단한 느낌이 덜 살아닙니다.

기획의 규모 문제가 아니라 기획의 초점이 이슈라고 봅니다. 넷플릭스는 온전히 넷플릭스 서비스만을 위한 콘텐츠 기획과 제작을 고려해 투자합니다.

사업적으로 글로벌/로컬 시장에 대한 문화적 고려가 부가될 것이고요. 그런데 국내 OTT에선 아직은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쟁력 제고 외에도 유관된 방송사/통신사 등 이해관계자 고려도 포함해야 하는 게 현실이라고 생각됩니다.

우선순위를 고려해 이용자 입장에서 정리해보면 어떨까 싶습니다. 이제 이용자들은 월단위 구독료를 지불하는데 있어 같은 테이블 위에 넷플릭스와 디즈니플러스, 웨이브, 티빙, 왓챠, 시즌 등을 동시에 올려두고 고민할 것입니다.

물론 하나만 선택하진 않고 복수가 될 수는 있을텐데요. 어떤 경쟁력으로 그들의 선택을 받을 수 있을지 본질적 경쟁력을 찾아야 하겠습니다.

아울러, 국내 시장을 넘어 글로벌 시장으로 눈을 돌려 성장의 기회를 찾는게 중요하고 그나마 지금 그 문이 열리고 있는 시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