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난뉴스

대형산불은 기후위기가 불러온 예고된 재앙일까?

by 산골 피디 2022. 3. 11.

대형산불, 기후위기가 불러온 재앙?

올해 산불도 예년보다 늘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 3월 5일까지 발생한 올해 산불은 245건. 지난해 같은 기간 126건의 두 배 가량 높은 수치다.

환경단체나 산림청 관계자들도 “매년 건조해지는 시기에 동해안 산불이 조금씩 발생해 왔던 것은 맞지만, 최근엔 산불이 대형화되고 봄철 발생 시기도 앞당겨지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강릉 옥계 산불은 토치 방화를 비롯한 인재로 시작됐다 하더라도, 산불이 이렇게 큰 규모의 확산세로 이어지는 데엔 다른 근본 원인도 있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산불피해현황 (자료 산림청)=사진
산불피해현황 (자료 산림청)

 

대형 산불이 잦아지는 이유는?

산불은 대부분 사람의 잘못으로 일어난다.
하지만 산불을 진정시키는 데 가장 중요한 건 기후다.

최근 잇단 대형 산불의 진화에 애를 먹는 데는 기후 위기가 자리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후가 변화하면서 한 해에 비가 내리는 날은 적어졌지만 여름철 집중적으로 많은 비가 쏟아지는 등 기상의 극단화가 산불 피해를 키우는 데 영향을 줬다는 것이다. 우선 이번 산불은 50년 만에 최악인 겨울가뭄이 일차적 원인으로 꼽힌다.

여기에 강풍이 겹치면서 산불이 크게 확산됐다. 겨울내내 메마른 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산불이 발생했을 당시 바람이 굉장히 강했다. 그러다 보니 작은 불씨에도 크게 발화되면서 확산이 쉬웠던 것이다. 다만 겨울철 전국 평균기온은 0.3도로 평년과 비슷했다.

산불은 건조한 날씨와 햇볕으로 바싹 마른 낙엽 등에 불이 붙으면서 일어난다. 봄철인 4월에 산불이 잦은 것도 이런 이유다. 비가 오면서 건조한 날씨가 풀려야 강원 동해안 산불과 같은 재발화가 멈춘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올해 2월 전국 평균 강수량은 13.3㎜에 그쳤다. 지난 30년(1991~2020년) 평균 겨울 강수량 89㎜의 15% 수준이다. 기상관측이 전국으로 확대한 1973년 이후 가장 적은 양이다.

문제는 해가 갈수록 전국의 비 오는 날(강수일)이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최근 30년간(1991~2020년) 평균 강수일은 99일이다. 그런데 최근 10년간의 강수일은 98.1일로 조금 줄었다가, 최근 5년간은 90.4일로 크게 감소했다. 특히 겨울철(12~2월)은 비 내리는 날이 최근 10년 15.5일에서 최근 5년 11.8일로 유독 적다. 대신 2020년부터 3분기(7~9월) 강수량이 대폭 늘었다. 비가 오는 날이 줄어든 대신 여름철 ‘물 폭탄’의 위력이 전과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로 강해진 셈이다. 자연스레 수해도 잦다.

기상 변화는 전국적 문제다. 전국의 지난 1월 전국 강수량은 2.6㎜로, 1973년 이후 역대 최저치를 보였다.
결국 산불이 좀체 꺼지지 않고 피해를 키운 건 기후 위기 탓이라는 지적이다.

겨울철 (2021년 12월~2022년 2월) 전국 강수량 (자료 기상청)=사진
겨울철 (2021년 12월~2022년 2월) 전국 강수량 (자료 기상청)

 

지구기온이 1도 상승하면 강수량 적어

일각에서는 대형 산불 원인이 기후위기일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심화하는 겨울철 고온건조 현상 자체가 기후변화(기후위기)의 증상이라는 주장이다.

녹색연합 서재철 전문위원은 “산불과 기후위기의 인과관계를 분명하게 과학적으로 증명하는 것은 시간이 걸리는 일이긴 하다. 한국을 포함해 국제적으로 산불이 대형화되는 것은 기후위기로 겨울철 건조해지고 지표열이 올라가기 때문이다. 기후변화로 우리나라 산불의 양상이 달라지고 있다. 호주와 미국의 대형 산불은 이제 남의 일이 아니다”라고 전했다.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온도가 1.5도 증가하면 산불 기상지수는 8.6%, 2도 증가하면 13.5% 상승한다.
산림청 관계자도 “예전에는 대형 산불이 주로 4월에, 강원도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최근에는 산불이 전국화되는 경향도 있고 시기도 앞당겨지고 있어서 어느 정도는 기후변화의 영향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동해안 대형산불 (사진 녹색연합) =사진
동해안 대형산불 (사진 녹색연합)

 

기후변화로 2100년엔 산불 50% 증가

기후위기가 심화함에 따라 광범위한 산불이 일상화할 것이라는 국제기구의 최근 연구결과도 현재 상황에 비추어 새겨볼 만하다. 유엔환경계획(UNEP)이 2월 23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 ‘산불처럼 확산되다: 이례적인 산불 위협의 증가’에 따르면, 기후위기와 토지 이용 변화로 산불은 전 세계적으로 더욱 빈번하고 강하게 발생할 전망이다. 보고서는 2030년까지 전세계에서 산불이 최대 14%, 2050년까지 30%, 2100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보고서는 “가뭄 증가, 높은 공기온도, 낮은 상대습도, 번개, 강한 바람 등 기후변화로 인해 산불이 악화하고 화재기간이 길어진다. 이전에는 산불의 영향을 받지 않았던 북극과 기타 지역도 산불 위험 지역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반면 올해 겨울가뭄 현상만으로 기후위기의 영향이라고 단정하기 힘들다는 목소리도 있다.

기상청 관계자는 “기후변화라고 보려면 최근 수십 년 동안 이어져 오는 변화가 있어야 하는데 현재는 그렇지 않다”며 “올해 겨울이 가물었던 것은 겨울 내내 차갑고 건조한 고기압이 우리나라 쪽에 지배적으로 머물다보니 강수를 유발하는 저기압이 발달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숲 다양성 훼손이 산불 대형화 키운다

산불이 대형화하는 현상이 정부의 산림관리 차원에서 이뤄지는 ‘숲가꾸기’ 사업의 영향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산림청의 숲가꾸기 사업은 인공조림지나 천연림이 건강하고 우량하게 자랄 수 있도록 숲을 가꾸고 키우는 사업이다. 큰 나무를 키우기 위한 솎아베기를 비롯한 작업을 한다.

문제는 숲가꾸기 사업 과정에서 되려 생물다양성이 훼손돼 산림이 화재에 취약한 상태가 돼버린다는 점이다. 숲가꾸기는 주로 소나무만을 남기고, 낙엽활엽수는 잡목이라는 이유로 잘라버리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런데 소나무는 기름성분이 많아 화재가 났을 때 불쏘시개 역할을 할 수 있다. 소나무에서 떨어진 잎과 마른 가지는 다량의 송진을 함유하고 있기에 불이 붙으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된다. 거의 모든 소나무숲은 인위적으로 간섭하지 않으면 자연스럽게 낙엽활엽수림이나 혼효림으로 빠르게 변해 불이 나도 크게 확산되지 않은데, 숲가꾸기로 그걸 막은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자연숲은 빗물을 머금고 토양을 촉촉하게 유지하지만 숲가꾸기 사업으로 산림은 건조해지고 숲 내부 바람이 빨라졌다. 숲가꾸기를 하지 않는 국립공원에는 대형 산불이 발생하지 않는다.

숲가꾸기 사업을 진행한 숲 (사진 산림청)=사진
숲가꾸기 사업을 진행한 숲 (사진 산림청)



이에 대해 산림청은 침엽수가 불에 잘 탄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이번 산불 피해지역인 동해안은 침엽수가 잘 자라는 지형‧기후적인 조건을 가진 지역이라고 설명했다. 산림청 관계자는 “소나무가 땅이 척박한 지역에서 잘 자란다”며 “그러다보니 강원도‧경북‧동해안 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고 말했다. 습지보호의 중요성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권우현 활동가는 “지금은 댐을 만들어 물을 관리하고 있는데, 자연 안에 연못도 있고 샘물도 있다면 어느 정도 산불의 대형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후위기 차원 산불예방 대책 강화

이런 가운데 대형 산불을 국가적 재난으로 보고 국가적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서재철 녹색연합 전문위원은 “산불의 진화체계와 장비를 고도화해도 대자연의 경고인 기후위기의 힘을 감당하기는 쉽지 않다. 산불 진화와 더불어 기후위기 적응 차원의 예방대책이 강화돼야 한다”고 전했다.

숲의 생물다양성과 습지보존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는 목소리도 강조된다. 유엔환경계획은 보고서에서 “생태계 복원은 산불이 발생하기 전에 위험을 완화하고, 산불 이후 더 잘 복구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방법이다. 소방관의 안전과 건강에 대한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등 정부의 화재 대응 방법도 재검토돼야 한다”고 밝혔다.
산이 건조해진다는 건 공기 중 수분이 부족해진다는 것이다. 기후 항상성이 깨져 날씨 예측이 어려워지게 됐다. 미국 캘리포니아 산불처럼 기후 변화로 전 세계가 산불에 시달린다. 지금이라도 에너지 전환 정책을 총체적으로 점검하는 등 문명적 변화가 필요하다.


울진·강원 삼척 실시간 산불 현황 사이트 알려드림

 

울진·강원 삼척 실시간 산불 현황 사이트 알려드림

울진·삼척 산불 진화가 난항을 겪으면서 잠시 소강상태를 보였던 삼척 산불도 재확산되고 있다. 험준한 산세 지형으로 산불 산악 지형에 접근하기 어려운 곳 많고, 연무로 시계 안 좋아 헬기진

6mmhhj.tistory.com

 

동해안 산불 이재민 피해 규모와 지원 대책은?

 

동해안 산불 이재민 피해 규모와 지원 대책은?

동해안 산불,이재민 피해 규모는 얼마나? 초대형 산불로 3월 6일 산불 피해 주민이 강원도 동해시 만우동의 전소된 집 주변을 망연자실하게 살피고 있다. 마을 전체가 폭격을 맞은 듯 모조리 불

6mmhhj.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