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자 제작지원 사업선정!! 로컬라이프 하우투
코로나는 그동안 수도권 중심에 매몰됐던 우리 사회의 자화상을 되돌아보게 한 사건으로 전국 소식보다 동네 소식에 귀 기울이게 만들었다.
코로나가 바꿔놓은 라이프스타일 변화도 인구 증발로 말라가던 지역(Local)을 다시 보게 했다.
서울 vs 지방. 중심 vs 주변 개념이 아니라...
자기답게 살고 있는 곳이 로컬이고..
자기 다운 삶의 방식이 로컬 라이프가 되었다.
#지역커뮤니티_플랫폼은 지역 공동체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톡톡히 했다.
아울러 뉴미디어 급습으로 위축된 지역방송의 사회적 역할도 다시 자리매김할 수 있을까?
지역방송이 지역 커뮤니티 미디어 생태계 조성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시청자 참여 제작’(PA:Public Access)란 것이 시청자가 제작한 영상을 그냥 방송에 틀어주는 걸 넘어서 미디어 리터러시 소통을 통해 1인 로컬 크리에이터 생태계 조성에 디딤돌로 활용하면 어떨까란 생각을 하곤...
기존 레귤러 제작비도 부족한 형편에 시청자 제작 프로그램까지 넉넉잖은 방송제작 예산을 쓰기는 여러모로 눈치가 보여...
정부지원사업 보조금지원 받아 제작비 충당하기로 맘 먹고...시청자미디어재단 제작비 지원 신청서를 접수했는데...
덜컥 응모선정된 기쁨도 잠시...
담당 피디 혼자 감당하기엔 페이퍼 업무가 엄두가 나질 않는다.ㅠ
시청자 콘텐츠 발굴.수급.
매월 시청자운영위원회 구성.심의.
방송채택료 지급 승인 신청.
교부금 신청접수 등 각종 공문 발송.
방송채택료 지급 정산.중간보고.
최종 결과보고서 작성 등
행정 잡무가 상상초월 ㅠ ㄷㄷ
그래도!!!
로컬 크리에이터 미디어 생태계 구축에 마중물이 될 4천만 원은 가뭄에 봄을 재촉하는 단비다!!
#시청자 참여 제작( PA:Public Access)으로 시작하지만 깃발의 방향은~ 코로나 이후 마을 공동체. 하이퍼 로컬 커뮤니티 미디어 생태계를 향한다.
#로컬라이프_하우투 (하우투 유튜브 채널의 버티컬 채널) O2O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을 만들어보자!!
#로컬컬처(#지역문화)
#로컬커뮤니티(#지역공동체)
#로컬미디어(#지역방송)
코로나가 위기가 아니라 지역엔 오히려 로컬 동반 성장 기회가 됐으면 좋겠다...
한마디로 “Be the Local”!!
<마을 공동체 커뮤니티 미디어 지원 사업 방향>
-지역 커뮤니티 미디어 활용을 통한 소통 기본권
-지역소멸 위기의 마을 공동체 가치 회복
-강원영동남부권역 마을 공동체의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주도하는 마을미디어 육성(청년 창업 크리에이터 협업 지원)
-강원 영동남부 지역사회 공동체 커뮤니티 발전에 기여
<마을 공동체 커뮤니티 미디어 추진 배경>
스마트미디어시대를 맞아 ‘미디어 활용’과 ‘미디어를 통한 소통’능력이 기본권으로 인식 확산
□ 스마트미디어를 통한 정보 생산과 유통의 활성화로 ‘하이퍼 로컬리티’의 가치 및 관심 증대
□ 영동남부권역 시민들의 미디어 활용 및 소통 욕구 증대와 충족 필요성 대두
□ 특히 고령화와 저출산 등으로 인한 전통적 마을공동체의 쇠락 가속화에 대응한 지역사회의 경쟁력 강화 필요
□ 도시와 농산어촌의 마을공동체 구성원들이 미디어를 활용한 소통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전통적 공동체성과 화합과 상생, 협력의 가치를 확산할 필요
<마을 공동체 커뮤니티 미디어 사업 주요 내용>
○‘마을미디어’ 교육
마을미디어 활동가 발굴 및 마을미디어 제작단 교육, 양성
○지속발전가능한 마을미디어 모델 구축
-운영체계, 마을미디어 장비, 인력, 지자체 협력
○강원시청자미디어센터의 미디어 교육 연계
○도시재생지원센터 협력 ‘마을미디어’ 구축
-동해 삼척 태백권역 도시재생지원센터 협력
-자체 뉴딜사업과 연계 ‘마을미디어’모델 개발
산골 작은학교와 산골 마을 상생 프로젝트로도
마을방송( 공동체 커뮤니티미디어)으로 확장!!
구체적인 로드맵은....
<산골학교 마을방송 만들기 사업계획(안)>
1. 배경. 목적
□ 강원도의 노령시대 진입과 출산율 감소, 1인가구 증가 등 사회적 변화로 인한 ‘작은 학교’와 ‘마을 공동체’의 위기감 증대
□ 특히 ‘마을 공동체’의 중요 기반인 ‘작은 학교’의 유지는 미래강원의 지속발전 가능성의 필수 조건
□ ‘작은 학교’를 중심으로 도시와 농산어촌의 마을공동체 구성원들이 미디어를 활용한 소통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전통적 공동체성과 화합과 상생, 협력의 가치를 확산
2. 주요 내용
□ ‘작은 학교’ 미디어 교육
○스마트폰 동영상 콘텐츠 제작 교육
-스마트폰 촬영.편집앱 ‘키네마스터’ ‘블로’ 교육 ※캠코더, DSLR 촬영. 컴퓨터 NLE 심화교육
○멀티카메라 제작 교육
- 영상스위처, 3대 이상의 캠코더, 소형 오디오믹서 활용한 멀티카메라 제작 집중 반복 교육
- 토크 쇼, 학교 마을행사 중계, 마을 특산품 소개 등 다양한 콘텐츠 제작 실습
- 마을 방송 제작단 참여
※일체형 멀티카메라 제작 장비(영상스위처, 소형 오디오믹서,모니터 등 구성)는 강원교육희망재단 및 강원시청자미디어센터 장비 활용
□ ‘마을방송 만들기’ 교육
○‘마을방송 제작단’ 구성 및 컨설팅
-작은 학교 학생과 마을 주민 제작단 발족
-이장, 학교운영위원회, 학부모회, 마을 노인회, 부녀회, 청년등 마을 주민 참여 독려
-제작단 구성. 마을 방송 교육 등 멘토링 자문
○온라인 SNS 플랫폼 활용한 ‘마을 방송’ 교육
- 작은 학교. 마을 공동체 공식 유튜브 채널, 페이스북 페이지 등 개설 컨설팅
- 동영상 게시 방법 교육 -토크쇼 등 마을 방송 콘텐츠의 유튜브 채널 라이브, 페이스북 페이지 라이브 방송 실습 교육
-라이브 방송 인터넷 스트리밍 장비 필요
#산골피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