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레이션 콘텐츠

삼성전자 노조 첫 파업 선언한 이유

산골 피디 2024. 5. 29. 17:58

삼성전자 노동조합이 파업을 선언했다.
1969년 창사 이래 최초다. 5월 29일 이 회사 최대 노조인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은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회사가 임금 교섭과 관련한 아무런 안건을 제시하지 않고 노조를 무시한다. 이 순간부터 즉각 파업을 선언한다”라고 밝혔다.

이날 파업 선언의 표면적 이유는 노사 교섭의 파행이다. 전삼노와 사측은 지난해부터 수십 차례 임금교섭을 진행해 왔다. 전날 5월 28일 열린 8차 본교섭에서는 노조가 기피하는 사측 인사 2명의 교섭 참가 여부를 두고 양측 사이 고성이 오가다 결국 파업 선언으로 이어졌다.

손우목 노조 위원장은 “이재용 회장이 무노조 경영 철회를 선언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측의 태도는 변화가 없다. 우리가 원하는 것은 임금 1~2% 인상이 아니다. 일한 만큼 공정하게 지급하라는 것이다. 성과급을 많이 달라는 이야기도 아니다. 제도 개선을 통해 투명하게 지급해 달라는 것”이라고 호소했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달 4월 전삼노 대신 노사협의회를 통해 올해 임금인상률을 5.1%로 결정했다. 전삼노는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거쳐 파업 권한을 획득했다. 노조는 화성사업장과 서초사옥에서 두 차례 압박용 집회를 열기도 했다.

전삼노가 선언한 파업은 단체로 일손을 놓고 공장을 세우는 ‘총파업’과는 거리가 멀다. 노조 집행부는 조합원들에게 현충일 다음날인 6월 7일 집단 연차를 쓰라는 지침을 내렸다. 법원은 집단 연차사용 같은 권리행사형 투쟁도 쟁의행위로 본다. 따라서 쟁의권을 확보한 전삼노는 노조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 노조는 곧바로 총파업에 들어가기보다는 연차 단체 소진 등의 방식으로 사측을 단계적으로 압박한다는 방침이다. 서초사옥 앞에서 버스 숙박 농성도 병행한다.

전삼노는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 직원들을 중심으로 결성된 노조다. 글로벌 메모리 시장 침체로 삼성전자는 지난해 반도체 사업에서 15조 원에 달하는 적자를 냈다. 이에 성과급을 받지 못한 DS 부문 직원들의 불만이 이번 파업의 배경으로 지목된다. 전삼노 조합원은 지난해 말 9000명 정도였으나 반년 만에 3배가 넘는 2만 8000여 명까지 늘었다. 삼성전자 전체 직원(약 12만 5000명)의 22% 수준이다.


삼성전자 노사 갈등은 정보기술(IT) 수요 위축으로 지난해 ‘최악의 겨울’을 보낸 반도체 사업과 긴밀히 맞닿아 있다. DS부문 직원들은 매년 연봉의 50~100%가량 받아오던 성과급(OPI)을 한 푼도 받지 못한 것이다. 이현국 노조 부위원장은 “삼성전자 내 투잡, 쓰리잡 하시는 분들이 굉장히 많이 발생했다”라고 말했다.

삼성전자 공시를 보면 직원들의 평균 연봉은 2022년 1억 3500만 원에서 지난해 1억 2000만 원으로 11% 줄었다. 노조 측은 현재 인공지능(AI) 필수재로 각광받는 고대역폭메모리(HBM) 개발을 소홀히 한 전임 경영진이 오히려 100억 원대의 퇴직금을 받아가는 등 불공평한 분배가 이뤄지고 있다고 비판한다. 노조는 이날 성과급 지급 방식을 삼성전자 고유의 ‘경제적 부가가치(EVA)’ 기준이 아닌 LG·SK하이닉스처럼 영업이익 기준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삼성전자는 당혹해하는 표정이다. “내우외환이 겹쳤다”는 안팎의 평가가 나온다. 반도체 사업은 1분기 흑자전환에 성공했지만 이는 전반적인 시장이 ‘업턴(상승세)’으로 돌아선 데 따른 부수 효과에 가깝다. 오히려 AI 반도체 경쟁에서 한발 뒤처진 데다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도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삼성전자는 위기 극복을 위해 임원들의 주 6일 근무를 시행하는 한편 반도체 수장을 기존 경계현 사장에서 전영현 부회장으로 전격 교체하는 원포인트 인사까지 단행한 바 있다.


삼성전자는 그동안 노사 이슈에 대해 “성실히 교섭에 임할 것”이라고 밝혀왔으나, 이날은 별다른 공식 입장을 내지 않았다.

노사 대치가 장기화될 경우 노조가 실제 총파업에 돌입하거나 강경 노선으로 선회할 조짐도 엿보인다. 전삼노 집행부는 민주노총 금속노조에 가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기자회견에서도 금속노조 인사가 연대 발언을 했다. 현재 전삼노는 한국노총 금속노련 소속이다.

이번 단체행동이 삼성전자 직원 간 갈등으로 비화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회사에서 전삼노 다음으로 두 번째로 노조원 수가 많은 ‘DX노조’를 중심으로 꾸려진 초기업노조는 “전삼노가 삼성 브랜드 가치를 훼손하고 있다. 회사를 해사한 행위로 위세와 위력을 행사하며 협상력을 높이는 구시대적인 노동문화”라고 비판했다. 지난해 성과급을 못 받은 DS부문과 달리, 스마트폰·TV 등을 담당하는 디바이스경험(DX) 부문 직원들은 연봉 50%가량의 성과급을 받았다.